아마존 미래전략 2022는 다른 내용들은 너무 많이 알려진 아마존의 내용이라
딱히 인상적인 책은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아마존의 조직관리와 의사결정 구조를 정리한 부분은 인상적이었습니다.
그부분만으로도 책을 읽을만한 가치가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아마존은 임직원이 갖추어야 할 리더십을 ‘리더십 원칙 14계명’으로 정리하고 있습니다.
[리더십 원칙 14계명]
고객에 대한 집착 Customer Obsession
- 리더는 고객의 관점에서 생각하고 행동해야 한다.
- 고객에게 신뢰를 얻고 유지하기 위해 전력을 다해야 한다
주인의식 Ownership
- 리더는 자신의 팀뿐만 아니라 회사 전체를 위해 행동해야 한다.
- 단기적인 결과를 위해 장기적인 가치를 희생해서는 안된다.
발명하고 단순화하라 Invent and Simplify
- 리더는 팀에 혁신과 창조를 요구해야 하며, 늘 심플한 방법이 없는지를 모색해야 한다.
- 리더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실행하는데 오랜 기간 외부에 오해를 살 수 있는 일이더라도 그것을 받아들여야 한다.
항상 정확하고 옳아야 한다 Are Right, A Lot
- 리더는 모든 상황에 올바르게 판단해야 한다. 강력한 판단력과 더불어 경험에 기반을 둔 직감을 갖추어야 한다.
자기계발 Learn and Be Curious
- 리더는 끊임없이 배우고 자기 자신을 향상해야 한다. 새로운 가능성에 호기심을 갖고 실제로 그것을 행동으로 옮겨야 한다.
최고를 채용하고 육성한다 Hire and Develop The Best
- 리더는 뛰어난 재능을 가진 인재를 발굴해서 조직 전체를 위해 능동적으로 활용해야 한다.
- 리더는 다른 리더를 육성하고 지도하는 데 진지하게 노력해야 하며 모든 구성원을 위해 새로운 성장 매커니즘을 창출해야 한다.
최고 수준 추구 Insist on the Highest Standards
- 리더는 남들이 터무니없다고 생각할 정도로 높은 수준을 추구해야 한다.
- 끊임없이 본인이 추구하는 수준을 끌어올려야 하고, 팀이 더욱 품질높은 제품과 서비스, 프로세스를 실현할 수 있도록 촉구해야 한다.
- 리더는 결함 있는 제품을 다음 공정으로 내보내서는 안되며, 문제를 확실히 해결하여 같은 문제가 재차 발생하지 않도록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
크게 생각하라 Think Big
- 리더는 대담한 방침과 방향성을 마련하고 제시함으로써 성과를 끌어내야 한다.
신속하게 판단하고 행동하라 Bias for Action
- 대부분의 의사결정과 행동은 나중에 바로잡을 수 있으므로 거창한 분석과 검토는 불필요하다.
- 리더는 예측 가능한 위험을 감수하는 것도 중요하다.
근면절약 Frugality
- 리더는 더 적은 자원으로 더 많은것을 실현해야 한다.
- 절약정신은 창의적 아이디어, 자립심, 발명을 만들어 내는 원천이다.
- 직원 수, 예산, 고정비는 많다고 좋은것이 아니다.
신뢰를 구축하다 Earn Trust
- 리더는 주의깊게 듣고, 솔직하게 말하며, 구성원을 존경심으로 대해야 한다.
- 잘못이 있다면 솔직하게 인정하고, 자신과 팀의 잘못을 그냥 넘어가서는 안된다.
깊게 빠져들어라 Dive Deep
- 리더는 모든 수준의 업무에 관여하고, 항상 세부 내용을 파악해 현황을 수시로 감시하며, 지표와 개별 사례가 일치하지 않는다면 의문을 제기해야 한다.
- 모든 업무에 가치가 있다고 여기고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명확한 기준 - 반대하고 받아들여라 Have Backbone ; Disagree and Commit
- 리더는 찬성할 수 없는 사안에는 정중하게 이의를 제기해야 한다. 번거롭고 피곤하겠지만 예외는 있을 수 없다.
- 리더는 신념을 가져야 하며 금방 포기해서는 안된다.
- 다만, 충분한 반대논의 끝에 회사차원의 결정이 내려졌다면 결정에 전념하고 몰두해야 한다.
결과도출 Deliver Results
- 리더는 비즈니스상의 핵심투입에 초점을 맞추고, 이를 신속하게 실행해 결과를 내야한다.
[아마존이 혁신을 만들어내는 네 가지 비결]
아마존이 조직적, 제도적으로 대기업병을 회피하는 방법
진정한 고객 지향 / 절차화에 대한 거부 / 최신트렌드에 대한 신속한 대응 / 빠른 의사결정 시스템
-
진정한 고객지향 : 언제든 불만을 가질 수있는 존재인 고객이 최대한 만족할 수 있도록 역량을 집중한다.
-
절차화에 대한 거부 : 업무가 규칙화되고 절차화되는것을 경계하고 나쁜 결과를 정당화하기 위해 절차에 따르는 행태를 거부해야 한다.
-
최신트렌드에 대한 신속한 대응 : 머신러닝과 인공지능에 대해 명확하고 신속하게 대응
-
빠른 의사결정 시스템 : 의사결정의 네가지 규칙
규칙 1 : 의사결정 방식을 두가지로 분류한다. 돌이킬수 있는 것과 돌이킬수 없는 것. 돌이킬수 있는 사안은 실패할 가능성을 포함해 점진적으로 결정하고, 돌이킬 수 없는 사안은 깊이 있게 논의하는 방침을 취한다. 돌이킬수 있는 의사결정에 대해서는 권한위임을 하여 의사결정의 속도를 높이고, 돌이킬수 없는 사안은 모두가 합의하여 신중하게 결정한다. 규칙 2 : 70퍼센트의 정보로 의사결정 한다. 100퍼센트의 정보를 모으려고 하면 시간만 흘러갈 뿐 의사결정을 내릴 수 없다. 규칙 3 : 반대하고 받아들인다. 반대의견을 자유롭게 피력한다, 이때 데이터 등의 객관적인 자료와 프로젝트에 대한 반대자의 의지를 객관적으로 납득시켜야 한다. 다만, 반대논의 끝에 회사차원에서 결정이 내려지면 받아들이고 전념으로 일한다. 규칙 4 : 부서간의 이해대립을 받아들인다. 팀 사이에서 의견차이가 있는것은 당연한 것임을 받아들인다. 실무선에서 논의를 해도 입장차를 좁히기 어려운 경우에는 논의만 되풀이해서 피폐해지지 말고 상부조직으로 의사결정을 올려서 의사결정을 받아라. 조직이 쓸모없는 논쟁에서 자유로워지고 의사결정 시간은 훨씬 단축될 것이다.
[조직의 크기 - 피자 두판 원칙]
- 조직은 작은 팀으로 구성되어야 한다. 한 부서의 규모는 피자 두 판이면 모두 충분히 먹을 수 있을만큼 작아야 한다는 말이다. 규모가 작은팀은 큰 팀보다 더 많은 일을 하며 정치운동이나 누가 공로를 인정받을 것인지에 대해서도 신경을 덜 쓴다.
- 모든 사람은 창의적일 수 있다고 믿고 부서를 가능한 한 작게 유지하려고 한다. 그리하여 각 지원에게 자율권과 혁신에 대한 책임감을 갖게한다. 6~10명이 피자 두판을 충분히 나눠먹으면 딱 좋듯이 팀규모도 작은것이 좋다.
'독서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복종 -미셸 우엘벡 (0) | 2020.03.31 |
---|---|
가상은 현실이다- 주영민 (0) | 2020.03.25 |
부의 인문학, 부의 본능 - 우석 (0) | 2020.03.15 |
조금은 삐딱한 세계사 유럽편 - 원종우 (0) | 2020.03.14 |
Good Strategy vs Bad Strategy (0) | 2020.03.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