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재테크

[주식]단타투자법

주식투자를 장기로도 해보고 단기로도 해보고 스윙으로도 해보고 데이트레이딩으로도 해보고..

그래도 수익을 내기란 참 어려운 것 같습니다.

스윙을 하려고 들어갔다가 어느 순간 타이밍을 놓치고 가치투자가가 되어있기도 하지요.

 

우리나라 개인투자 계좌수익률을 보면 수익을 내고 있는 계좌는 10%가 안된다고 합니다.

그만큼 주식으로 돈을 벌기가 어렵다고 하지요.

 

제 나름대로의 방법은 종목별로 다르게 접근하는 겁니다. 장기로 접근하는 종목이 있고, 단기로 접근하는 종목이 있고, 스윙으로 접근하는 종목, 데이트레이딩으로 접근하는 종목 모두 다르게 카테고리화 합니다.

제 기준에 장기는 1년이상, 단기는 3개월 이상입니다.

 

이 중 오늘은 단기로 투자하는 방법에 대해서 제가 나름 여러 책을 보고 공부하고 세워놓은 원칙이 있는데 그것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주식 투자하시는 분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고, 어디까지나 개인적인 의견입니다. 투자공부에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1. 기업분석

  • dart에서 분기보고서를 보자 , 분기보고서만 읽자 
  • 이중 우리가 중요하게 볼 부분은 회사의 개요, 자본금 변동사항, 주식의 총수, 배당, 사업의 내용, 재무, 감사의견, 계열회사 정보
  • 회사의 개요 : 설립이 오래될수록 안정적인 회사. 주소지를 보고 토지보유 여부 등 파악
  • 자본금의 변동 자본금이 늘었다면 증자인지, 회사채인지 확인 / 자본금이 줄었다면 감자인지->이런 회사는 패스
  • 주식의 총수 : 발행할 주식의 총수는 설립 시 주식 총수의 4배를 넘지 못한다 / 증자는 좋은 신호, 감자는 나쁜 신호 / 그러나 밥먹듯이 증자를 하는 주식은 쳐다보지도 말 것 
  • 배당이 잘되는 주식은 가산점
  • 사업의 내용은 재료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정도로 살펴보자
  • 재무에 관한 사항은 자산, 부책, 실적을 중심으로 본다. 분기보고서 위주로 본다.  자산은 크면 클수록 좋다. 부채는 작을수록 좋다. 자본은 자산에서 부채를 빼는 건데 자본이 마이너스인 상태가 자본잠식 상태. 자본잠식 상태의 종목은 초보 단계에서는 절대 건드리지 마라. 매출이 늘고, 영업이익이 늘고, 당기순이익이 느는 것은 좋은 신호. 경상이익은 본업과 관련이 적은 내용도 포함되기 때문에(부동산 팔고, 토지 팔고 등등) 주의 깊게 보지는 않는다.

2. 매일 해야 하는 숙제

  • 주요 신문 1면 등 기사 확인
  • 상한가 기록 and 거래량 1000만 주 이상 터진 종목을 정리, 이유도 간략하게 

3. 차트분석

  • 첫째가 거래량, 둘째가 차트, 그리고 마지막이 재료 
  • 내가 사야 할 지점은 지지선을 깨지 않는 것을 확인했을 때
  • 내가 팔아야 할 시점은 저항선을 못 뚫고 내려앉을 때
  • 저항선을 강력하게 뚫었을 때는 사야 할 시점
  • 거래량을 동반한 강력한 매수세가 필수
  • 어떠한 종목이 이미 올라가는 중에야 봤다면 언제 사야 하나? 강력한 저항선을 강하게 뚫었을 경우 함께 산다. 여기서 강하게는 적어도 저항선을 10~15% 이상 뚫는 것을 의미 
  • 지지와 저항이 가장 잘 먹힐 때는 '첫 번째' 저항과 지지. 처음 저항선을 뚫었을 때는 거의 99%에 가깝게 지지선 공략이 잘 먹힘

4. 거래량 법칙

  • 주가폭등의 전조 = 거래량 폭증(적어도 전 거래일 대비 500~1000% 이상) 이후 거래량 급감(전일 대비 25% 이하)이 일어난다. 제일 좋은 것은 전일대비 12% 미만일 경우이다.
  • 거래량이 급감한 날 주가가 5일선과 이격이 크지 않아야 한다. 맞닿으면 좋고(5일선 지지를 확인할 것), 5일선을 크게 깨는 것은 좋지 않다. 

5. 손절라인 철저히 지키기

  • 여러 분석을 통해 들어갔는데 주가가 생각과 달리 움직일 때, 보통 자신이 정해놓은 손절라인을 터치한다. 이때 무조건 손절한다. 리스크 관리 차원!!

6. 차트를 볼 때 : 이동평균선과 거래량을 중심으로 

  • 거래량이 적은 종목은 이평선 이론이 잘 적용되지 않고, 애초에 거래량이 적은 종목은 건드리지 않는 것이 좋다.
  • 5일 이동평균선 : 주가가 5일선 밑에서 놀고 있다가 5일선 위로 올라온 날부터 매수. 급격히 5일선을 뛰어넘은 종목은 음봉에서 5일선을 밟아줄 때 매수
  • 20일선은 주가의 지지와 저항 관점에서 살펴보고, 거래량이 줄면서 20일선 밑으로 떨어지면 장기적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 60일선을 5일선이 넘기는 시점(골든크로스)부터 주가 상승되는 경우가 많음
  • 120일선이 깨지는 순간, 향후 6개월간 이 주식은 별로 안 좋겠구나 생각해도 좋음. 어떤 회사의 호재는 적어도 6개월 전에 정보가 풀리고 미리 반영
  • 반대로 5일선이 60일선을 넘어 120일선까지 넘는다면 정말 큰 상승을 기대할 수 있다. 
  • 바닥권에서 첫 상항가를 기록하며 급등하는 종목은 3일선을 탄다.
  • 8일선 매매 법칙 : 3,5일 선에서 지지를 받지 못한 급등주는 8일선이 강력한 지지선이 된다. (그다음 지지선은 20일선이 될 확률이 매우 높다) 
  • 45일선 매매 법칙 :하루 20% 이상 급등한 이후, 처음 45일선 닿을 때 45일 이평선에서 반등이 온다. 그러나 이때 120일선 이상의 장기 이평선이 상단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주의, 45일선 닿을때 거래량이 늘어난 상태로 닿아도 무조건 제외. 이건 낙주 매매의 일종임을 기억
  • 360일선을 깬 종목은 아주 강한 확률로 360일선에 다시 근접한다. 장투 종목을 찾을 때도, 회사는 건전한데 360일선을 하회한 종목을 찾으면 반드시 수익을 본다 
  • 360일선 매매 법칙 : 360일선이 상승추세에 있고 , 360일선에서 주가가 급락한 경우 (횡보 중 서서히 하락은 제외) 반드시 360일선까지 다시 올라